가상화폐 코인 지갑 만드는 방법

 보통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을 거래소에서 구매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두 거래소에서 보관되기 때문에 걱정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나의 개인 지갑에 옮길 수 있습니다.


만들기

온라인

정확한 명칭은 가상화폐 지갑이지만 편의상 비트코인 지갑으로도 많이 불립니다. 비트코인이 가상화폐를 대표하기 때문에 이런 특징이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만드는 것 입니다. 대표적으로 Trust: Crypto & Bitcoin Wallet과 Coinbase Wallet 등이 있습니다. 모두 다운로드 횟수가 1000만이 넘었습니다. 어플을 다운로드해서 간단히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보안의 취약성과 추가 수수료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어플 자체의 보안은 높지만 서버가 털린다면 모든 가상자산이 해커에게 갈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는 출금을 하려는데 추가 수수료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해외 기반으로 운영되서 한국인 유저들의 불편함도 있습니다. 코인 지갑을 체험해 보고 싶다면 괜찮지만 많은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사용 방법은 다운로드 후 설치를 합니다. 그리고 화면을 넘기면서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이 때 복구용 문구라는 것이 있습니다. 단언가 무작위로 나와 있습니다. 의미는 상관없이 이 단어를 배열해서 나만의 암호를 만들면 됩니다. 이 순서를 종이에 적어두거나 외워야 이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치 덕분에 어플 자체 보안성은 좋습니다. 이외에도 한국에서는 구매하기 어려운 각 종 가상화폐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비트코인 지갑
콜드월렛, 출처 : D'CENT
다른 방법은 개인 하드웨어 기기에 보관하는 것 입니다. 편의상 오프라인이라고 표현했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방법입니다. 거래소에 있는 내 가상자산을 개인 하드웨어 장치에 옮기는 것 입니다. 이 때는 평범한 USD, SSD 등이 아니라 가상자산 전용으로 만들어진 저장 장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업체는 JADE, D'CENT 등이 있습니다. 일단 해당 기기에 옮겨 놓기만 하면 나 이외에 다른 사람이 접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이 방식을 콜드월렛이라고 합니다. 항상 작용하는 뜨거운 온라인이 아니라 차가운 하드웨어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만들어졌습니다. 입출금하는 방식은 어떤 기기를 사용해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기기를 활성화하고 암호를 설정하는 방식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일단 조금더 사용하기 쉬운 D'CENT의 활성화 방법과 사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충전을 합니다.

D'CENT

물리적인 기기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해야 전원을 켤 수 있습니다. 일단 전원 버튼을 꾹 눌러서 킵니다. 그리고 한국어로 언어 설정을 합니다. 지갑생성을 하고 PIN과 지문을 설정합니다. 지문인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실상 본인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복구 단어를 설정합니다. PIN 비밀번호, 지문 등록, 복구 단어 설정으로 초기 세팅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암호는 기억해두거나 나만 알고 있는 노트에 적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메모장보다는 실제 공책에 적어야 보안성이 더 높습니다. 기억할 수 있다면 굳히 적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잊어버렸을 경우 보관된 가상자산은 하드웨어에 갇히게 됩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나만 아는 종이, 공책 등에 적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팅을 완료하면 지갑을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D'CENT에서는 11가지 가상화폐 보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JADE

온라인 기반 어플이 지원하는 종류는 더 많습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하드웨어 콜드월렛이 더 좋습니다. 또한 메인으로 평가되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좋습니다. JADE도 설정은 거의 비슷합니다. 더 간단하게 영어단어 23개만 입력하면 됩니다. 영어단어만 입력하면 안전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궁금증도 있습니다. 하지만 타인아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내가 알려주는 않는 이상 타인이 아는 것은 아주 어렵습니다. 주사위를 던져서 이진수를 만들고 그것을 영어단어로 변환합니다. 아니면 처음부터 영어단어를 무작위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무작위 추출이기 때문에 뭔가 규칙성을 알아내는 것은 어렵습니다. 아무튼 23개 단어를 만들어서 기억을 하거나 어딘가 적어 놓으면 됩니다. 단어 스펠링과 함께 각각의 단어 순서도 중요합니다.

기기를 켜고 Options Temporary Signer를 누릅니다. 24Words로 선택하고 내가 만든 단어들을 입력합니다. 23개를 입력하면 24번째 단어는 기기에서 몇 가지를 제시합니다. 내가 만든 단어와 기기에서 만든 단어를 조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24개까지 입력하면 세팅이 완료되며 지갑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입력하는 과정이 다소 번거롭고 JADE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비교적 간단하게 세팅을 하고 지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송하기

거래소->지갑

이렇게 개인 지갑을 만들었다면 이제 거래소에 있는 가상화폐를 내 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에서 하드웨어 콜드월렛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온라인 지갑으로도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콜드월렛이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 콜드월렛을 키고 원하는 가상화폐 종류를 누릅니다. 그러면 고유주소가 생성되고 QR코드도 같이 있습니다.

거래소 어플을 켜서 QR코드를 인식하면 원하는 가상화폐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입출금을 클릭하고 특정 가상화폐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서 비트코인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출금하기를 누릅니다. 여기에서 원하는 수량을 입력하고 진행합니다. 출금 주소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문자로 표시된 것은 너무 길기 때문에 QR코드 인식 버튼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거래소에서 내 가상화폐를 개인 콜드월렛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지갑->거래소

정확히 반대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콜드월렛에서 보내기를 클릭합니다. 거래소 내 가상화폐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 때도 문자 또는 QR코드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QR코드가 편하기 때문에 QR코드로 합니다. 거래소의 내 가상화폐 주소는 생성을 해야 됩니다. 거래소에서 특정 가상화폐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입금하기를 누르면 주소를 생성합니다. 기본적으로 숫자와 문자가 길게 나오고 QR코드 아이콘도 같이 있습니다. 콜드월렛에 이것을 입력하면 됩니다.

기타

국내거래소는 지갑으로 보내기 또는 받기를 할 때 수수료가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거래소 Binance, OKX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수수료가 상관없으면 그냥 국내 거래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이 많다면 보통 10~30%를 콜드월렛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해진 비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콜드월렛 기기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면 아래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원고료를 제공받습니다."

디센트(D'CENT) 콜드월렛


제이드 콜드월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