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금이 1돈 기준으로 50만원이 넘었습니다. 과거 금값이 10~20만원 할 때와 비교하면 무려 2배 이상이 올랐습니다.
Graph
![]() |
출처 : 한국거래소 |
2015년에는 역대 최저로 3~4만원대를 유지했습니다. 이후 조금씩 올라서 2019년에는 5만원이 넘습니다. 2023년 8만원대을 찍고 2024년에는 10만원대를 넘었습니다. 그리고 계속 오르며 2025년에는 15만원대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가격은 1g을 기준으로 합니다.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1돈은 3.75g입니다. 따라서 1돈 기준으로 금 가격의 변화를 알고 싶으면 여기에 3.75를 곱하면 됩니다.
제가 직접 계산을 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10년 전에는 1돈에 10~15만원을 유지했습니다. 2019년부터는 많이 올라서 1돈에 20만원에 가까워집니다. 2022년부터는 20~35만원의 변화가 있다가 2024년 40만원을 돌파합니다. 그리고 2025년 2월 기준으로 금 가격 1돈은 56만원이 넘습니다. 불과 2~3년만에 2배가 올랐기 때문에 놀랍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금은 물가상승률에 따라서 조금씩 오르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였습니다.
이유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19 영향이 큽니다. 엔데믹 이후 일상으로 돌아갔지만 아직 그 영향은 큽니다.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가는 여전히 회복을 못했다고 평가됩니다. 또한 일부 학자들은 미국 조차도 영향을 너무 많이 받아서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까지 파급력이 큰 이유도 알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는 2018~2019년 시기에 역대급 호황기를 맞습니다.
이런 시기에 갑자기 판데믹이 오며 전 세계가 봉쇄됩니다. 아무리 경제 규모가 큰 나라도 무역과 함께 여러 국가와 교류하며 경제가 유지됩니다. 또한 최고 호황기에 갑자기 모든 국경이 봉쇄됐기 때문에 파급력은 더 컸습니다. 모든 국가들이 비상대책으로 화폐를 더 발행하며 국민들에게 생활지원금을 줍니다. 경제 이론에 의하면 이것이 아주 좋지 않습니다. 일단 국경 봉쇄로 국가간의 교류가 마비되었습니다.
즉 이전처럼 경제가 돌아가지 않는 상황에서 화폐를 더 발행한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가는 더 올라가고 화폐가치는 더 하락하게 됩니다. 당연히 경제 전문가들도 알고 있었지만 워낙 혼란한 상황이였기 때문에 비상대책으로 지원금을 준 것 입니다. 이후 엔데믹이 되며 이전처럼 무역이 가능해졌지만 판데믹 시절의 여파로 여러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엔데믹 이후 경제의 혼란이 더 가중되자 안정성이 높은 금가격이 계속 오른 것 입니다.
거래소
최근에는 금을 사서 나중에 팔자는 금테크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너무 많이 올라서 부담되고 실물을 사놓고 보관하기에도 애매합니다. 이때는 공식 금거래소에서 주식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금거래소에서 운영하는 센골드가 있습니다. 실물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고 주식을 구매하는 원리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비트코인 ETF와 비슷한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 로고가 있는 어플이고 구글스토어 기준 다운로드 50만이 넘었습니다. 가격은 정확히 금과 비례하여 금이 오를때는 오르고 금이 내릴때는 내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 이외에도 은, 니켈, 주석 등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실물이 아니기 때문에 정식 명칭은 e금, e주석 등으로 표시됩니다. 어플로 편리하게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페이 등으로 충전도 할 수 있어서 평소에 각종 페이를 많이 모았다면 소소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기타
앞으로 예상에 대해서는 1g에 20만원은 갈 것 이라는 견해가 많습니다. 호전적으로는 25만원까지 예상하기도 합니다. 1돈으로 환산하면 70~80만원 정도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1.5배 정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예상이기 때문에 실제 구매 판단은 개인이 해야 됩니다. 사실 어떤 종목으로 투자를 해도 개인이 돈을 벌기 힘든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공부를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구매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쉽게 비유하면 신발을 사는데 사이즈, 가격, 리셀 가능성 등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사는 것 입니다. 주식, 비트코인, 금 등도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지식이 있습니다. 경제 전문가, 교수들이 집필한 좋은 서적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뭔가 투자를 하고 싶다면 최소한 기본적인 지식을 공부하고 판단 기준을 정립한 이후에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책이 귀찮다며 유튜브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