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프로게이머하면 LOL만 떠올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봤을 때는 포트나이트, 와우, 에이펙스 레전드 등의 인기도 많습니다.
물론 LOL이 한국을 포함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것은 맞습니다. 게임별로 게이머들의 연봉 정보를 소개합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E-Sports 선수 |
- 페이커
- 듀크
- 뱅
- 울프
- 벵기
단연 압도적으로 페이커 이상혁의 연봉이 높습니다. 현재 70억 수준으로 추측됩니다. 어디까지나 추정치로 실제 연봉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국팀에서 200억 이상의 연봉을 제안했지만 T1와 재계약하며 현재 70억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주급으로 계산하면 약 1.5억 정도가 됩니다.
이 정도면 프리미어리그에서 주전급으로 활약하는 선수와 똑같습니다. 프리미어리그여도 하위권팀이나 로테이션 선수들은 연봉 20~30억을 받습니다.
페이커의 누적 대회 상금은 30억 정도로 추측됩니다. 연봉은 이것에 2.5배 정도입니다. 이 계산법으로 다른 선수들의 연봉을 추측해 보면 20~30억으로 예상됩니다.
아무튼 롤에서 상위권 게이머가 되면 10억 이상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포트나이트
- Bugha
- 아쿠아
- psalm
- 에픽웨일
- 아나스
롤과 포트나이트는 수익을 얻는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포트나이트는 프로게이머들의 연봉은 적지만 대회 상금이 더 많습니다.
비슷한 게임으로 도타 2가 있습니다. 롤은 선수들의 연봉은 많고 대회 상금이 적다면, 이런 게임들은 롤과 반대입니다.
포트나이트 상위권 랭커들은 30억 정도의 누적 대회 상금을 받았습니다.
1위 Bugha의 경우에는 대회 상금으로 50억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고정적인 수익은 적지만 대회 상금으로 대부분의 수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약간 고전 게임 대회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과거 게이머들은 대부분 대회 우승 상금으로만 생활을 했습니다. 약간 그런 경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롤은 연봉 체제로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e스포츠 중에서 가장 체계화된 스포츠로 자리잡았다고 평가가 가능합니다.
기타
현재도 인기가 많은 스타크래프트가, 과거에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e스포츠 리그였습니다.
프로팀들이 해체되고 리그가 중단되며 대다수의 스타 프로게이머들이 스트리밍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스타 프로팀들이 선수들과 코치들의 연봉을 너무 적게 책정한 것이 알려졌습니다.
막대한 인기를 누리며 수익을 창출했지만 정작 노력한 사람들에게는 보상이 제대로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리그가 해체된 것이 정상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스트리밍 플랫폼과 블리자드에서 ASL, KSL 대회를 가끔씩 개최하고 있습니다.
스타 출신 게이머들은 오히려 개인 방송을 하며 현역 프로게이머 시절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기있는 스트리머의 경우에는 일년에 수익 최소 10억으로 예상됩니다.